들어가며 #
개발에 AI를 다들 많이 사용하고 있고 회사에서도 Claude Code를 도입 검토 중이라고 하여 이것저것 써본다.
Claude Code뿐 아니라 Codex, GLM 등 다른 코딩 보조 도구도 많지만 Claude Code 기준으로 설명한다. 2025년 10월 기준으로 Claude code sonnet 4.5는 성능이 가장 좋은 모델 중 하나다.
Claude Code는 npm, brew 등 여러 경로로 설치 가능하다. 설치는 Claude Code 공식 문서 참고.
npm으로 설치하는 게 권장되는데 npm이 안 깔려 있다면 brew로 node, npm을 설치할 수 있다.(macOS 기준)
그리고 터미널에서 claude code를 실행하고 싶은 경로로 이동해 claude를 치면 실행된다.
allow edit, plan mode #
Claude Code에는 claude를 치면 바로 실행되는 일반 모드 외에도 편집 허용 모드, 플랜모드가 있다. 터미널 상에서 일반모드 - 편집 허용 모드 - 플랜 모드의 전환 단축키는 Shift + Tab이다.
plan mode의 경우 코드베이스 분석과 개발 계획에 집중하는 모드이다. 파일 편집, 명령어 실행 등이 허용되지 않는다. 즉 코드를 편집하지 않고 어떻게 편집할지 계획을 세운 후 사용자가 edit을 허락하면 그때 편집을 시작한다. plan mode에서도 기존 코드의 파악을 진행한 후 계획을 세우기 때문에 plan만 세우도록 하고 직접 작업해도 도움이 많이 된다. 또는 스펙 문서를 작성하도록 시킨 후("A 기능의 개발 계획을 spec.md로 작성해줘") 필요하다면 수정 후 해당 파일의 내용에 따라서 수정할 수도 있다.
그리고 Git을 통해 변경사항을 추적할 수 있다는 걸 이용할 수 있다. 결과물을 검사하고 claude code의 결과물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바로 전부 git reset으로 날린 후 다시 작업시키는 방식으로 반복을 돌려도 좋다.
https://insight.infograb.net/blog/2025/06/25/claude-code-plan-mode/
SuperClaude #
SuperClaude는 claude code가 좀더 개발을 잘 도와줄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이다. 추가적인 명령어 (/sc:command 형식), 유용한 MCP, @agent-frontend와 같은 키워드로 호출할 수 있는, 특정 기능에 특화된 컨텍스트를 가진 에이전트 등을 제공한다.
https://superclaude.netlify.app/docs/Getting-Started/quick-start
설치 시 어떤 MCP를 설치할지, superclaude 명령어도 설치할지 등의 선택창이 뜨는데 all을 선택해 전부 설치해도 좋다.
토큰을 아껴주는 serena, 최신 문서를 읽어와 컨텍스트로 제공하는 Context7, 브라우저 조작을 제공하는 chrome-devtools 등의 MCP가 딸려온다.
serena 팁 #
serena를 쓰면 토큰을 상당히 아낄 수 있다. 그러나 개인적으로 불편한 점은 serena mcp가 활성화된 상태로 claude code가 실행되면 로그가 기록되는 브라우저 창이 localhost 주소로 열린다는 것이다. serena 제작자 중 한 명에 따르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볼 수 있는 대시보드가 있는 게 좋다고 한다.
아무튼 이걸 없앨 수 있다. MCP 서버 실행 커맨드에서 --enable-web-dashboard False를 추가하면 된다고 한다. 이를 더 간단하게 설정하는 방법은 세레나 설정에서 할 수 있다. 내 mac 기준 serena 설정 파일은 ~/.serena/serena_config.yml에 위치한다. 이걸 열어보면 설정을 위한 다양한 속성들이 있다.
여기서 웹 대시보드를 없애기 위해 봐야 할 옵션은 web_dashboard랑 web_dashboard_open_on_launch다. 이 둘을 false로 설정하자.
참고로 web_dashboard_open_on_launch만 false로 설정하면 이름 그대로 serena가 실행되었을 때 대시보드가 실행되는 것만 막히고 로그를 보기 위해 serena 대시보드 주소로 가는 건 가능하다. web_dashboard가 false면 아예 그것까지 없어지는 것 같다.
참고한 serena 이슈: https://github.com/oraios/serena/discussions/271
커맨드 #
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생각해 주는 /sc:brainstorm, 기존 프로젝트를 분석하는 /sc:analyze,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/sc:implement 등의 커맨드를 사용 가능하다.
커맨드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특정 플래그가 있는 경우도 많다. 예를 들어 /sc:analyze의 경우 성능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는 --performance, 코드 품질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는 --quality등을 붙일 수 있다.
전체 커맨드 목록은 SuperClaude Full Command Reference에서 볼 수 있다.
에이전트 #
에이전트는 md 파일을 통해 Claude Code를 설정한 결과물이다. 도메인별 전문 지식, 패턴, 문제 접근 방식 등을 포함한다. 예를 들어 프론트엔드 아키텍트 에이전트의 경우 접근성, 페이지 성능, 반응형 디자인, 각 프레임워크 모범 사례 등을 참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.
특정 키워드를 커맨드에 입력 시 자동으로 해당 에이전트가 실행된다. 또는 @agent-security 처럼 명시적으로 호출할 수도 있다. 전체 제공하는 에이전트와 각 에이전트가 어떤 키워드를 통해 호출되는지에 대한 목록은 여기서 볼 수 있다.
https://superclaude.netlify.app/docs/User-Guide/agents#quick-reference-
참고로 다른 에이전트들도 많다. claude에서 /agents 커맨드를 통해서 볼 수 있다. 또한 직접 마크다운을 통해 에이전트를 작성할 수도 있는데 이런 에이전트 작성법과 고급 사용법은 서브에이전트문서 참고.
Flag #
/sc:로 시작하는 superclaude 커맨드에 --think, --think-hard, --ultrathink 플래그를 통해 사고 깊이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. 생각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시간, 토큰 소모도 훨씬 늘어난다.
opcode #
claude code를 GUI를 통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. 원래 Claudia라는 이름이었는데 저작권 문제로 이름이 바뀌었다.
https://github.com/winfunc/opcode
기존 세션들을 GUI로 정리해서(기존의 claude -r과 비슷) 보고 웹의 Claude, GPT와 비슷한 UI로 Claude Code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.
이때 채팅을 GUI로 이용하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claude, node 경로가 ~/.zshrc 등에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. which 명령어를 통해 경로를 확인하고 ~/.zshrc(혹은 다른 쉘 설정 파일)에 export PATH="/opt/homebrew/bin:$PATH" 처럼 추가할 수 있다.
opcode가 tauri(node를 이용해 크로스플랫폼 앱을 제작하는 프레임워크)를 통해 동작하기 때문에 node, npm 경로도 제대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.
MCP 서버도 쉽게 추가할 수 있다.
opcode로 MCP 연결하기 #
상단바의 점 3개를 누르면 메뉴에서 MCP Server를 추가할 수 있다.
밑에서 설명하겠지만 mcp는 claude mcp add~처럼 커맨드라인을 통해 설치할 수도 있다. 그런데 커맨드라인을 통해 설치한 것과 동기화를 할 수는 있지만 상당히 귀찮기 때문에 둘 중 하나만 쓰는 게 낫다.
Server Name, command, arg 입력으로 쉽게 추가 가능. 예를 들어 gemini mcp라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.
server name: gemini-cli-mcp
command: npx
argument: -y gemini-mcp-tool
Figma는 sse로 claude code mcp를 지원하기 때문에 sse로 추가하면 좋다
https://help.figma.com/hc/ko/articles/32132100833559-Dev-Mode-MCP-서버-안내서
유용한 MCP #
Figma server mode MCP https://help.figma.com/hc/ko/articles/32132100833559-Dev-Mode-MCP-서버-안내서
피그마 링크를 붙여넣으면 자동으로 해당 컴포넌트를 퍼블리싱해 준다. Dev Mode MCP 서버 안내서에서 여러 사용법을 볼 수 있다.
Figma MCP getting started https://github.com/GLips/Figma-Context-MCP?tab=readme-ov-file#getting-started
Gemini MCP tool: Claude code에게 "Gemini랑 논의해서 ~~한 작업을 진행해줘" 같은 식으로 둘이 논의하게 해서 더 나은 결과물을 내도록 유도할 수 있다.
https://github.com/jamubc/gemini-mcp-tool
Task master AI
주어진 작업을 쪼개서 프로젝트의 Todolist로 만들어 준다. 물론 plan mode, superclaude의 /sc:workflow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.
그 외에도 supabase, cloudflare 같은 수많은 벤더들이 MCP를 제공한다.
Awesome MCP Servers, smithery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.
기타 Claude 설정 #
프로젝트 루트에서 /init으로 CLAUDE.md 기본 생성 가능
/rewind로 이전 작업으로 되돌아가기 가능. 단 서브에이전트가 한 작업은 되돌릴 수 없음에 유의
MCP 설치 #
MCP는 AI가 외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해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표준 프로토콜이다. MCP 서버를 제공하는 앱의 경우, 해당 서버에 연결해서 외부 앱을 AI가 제어할 수 있다. 다음과 같은 커맨드로 설치 가능하다.
claude mcp add --transport {전송 타입(http | sse)} 서버명 서버주소
# 예시
claude mcp add --transport http figma-remote-mcp https://mcp.figma.com/mcp
claude mcp add --transport sse monday https://mcp.monday.com/sse
단 sse 전송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http 서버를 사용하는 것을 공식 문서에서는 권장하고 있다.
MCP 설치 시 --scope 플래그로 스코프를 지정할 수 있다.
--scope local(기본값): 현재 프로젝트에 설치되고 개인 설정에 저장된다.--scope project: 프로젝트 루트의.mcp.json설정 파일에 저장되고 해당 프로젝트에서 작업하는 모든 사람이 해당 MCP 설정을 사용하게 된다.--scope user: 개인이 작업하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해당 MCP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. 전역에 설치하는 거라고 보면 된다.
이때 MCP 설정은 여러 군데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.
- 프로젝트에서 공유되는 mcp 설정: 프로젝트 루트의
.mcp.json - 프로젝트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mcp 설정:
프로젝트 경로/.claude/settings.local.json에 있는 프로젝트 설정 파일에 포함 - 사용자의 전역 mcp 설정:
~/.claude/settings.json혹은~/.claude.json에 있는 전역 설정 파일에 포함
mcp 관련 명령어들
# 설치된 MCP 서버 목록 + 연결 상태
claude mcp list
# 특정 MCP 서버의 상세 정보
claude mcp get [서버명]
# MCP 서버 제거
claude mcp remove [서버명]
# (클로드 코드 쉘 내에서) 설치된 MCP 서버 목록 + 연결 상태
/mcp
설치와 활용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Connect Claude Code to tools via MCP에서 얻을 수 있다.
output styles #
claude에서 /output-style 커맨드를 입력 시 출력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. 작업 완료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explanatory 모드와 클로드와 협업하고 클로드가 일종의 PM 역할을 해주는 learning 모드가 있다. ~/.claude/output-styles에 있는 마크다운 파일을 통해 직접 출력 스타일을 커스텀할 수도 있다.
CLAUDE.md 같은 것과 달리 클로드의 기본 시스템 프롬프트(소프트웨어 작업을 빨리 끝낼 수 있게 설계됨)를 완전히 바꾼다고 한다.
https://docs.claude.com/en/docs/claude-code/output-styles
원래 이 기능은 11월 5일부로 deprecate될 예정이었지만 다시 복구되었다.
추가 자료 #
구글에서 직접 AI Agent를 개발할 수 있는 툴을 내놓았다. Agent Development Kit을 이용하면 Gemini Code Review 같은 툴을 직접 만들 수 있다.
참고 #
https://www.anthropic.com/engineering/claude-code-best-practices
Claude Code: Best practices for agentic coding
https://www.anthropic.com/engineering/claude-code-best-practices
What is the Model Context Protocol (MCP)?
https://modelcontextprotocol.io/docs/getting-started/intro
Claude Code - Where is my MCP configuration stored
https://www.reddit.com/r/ClaudeAI/comments/1lm7fbc/claude_code_where_is_my_mcp_configuration_stored/
Claude Code 설정